- Today
- Total
Byeo
VScode 설치, 원격 서버 접속 본문
VSCode 설치
- vscode를 설치해봅니다!
- 그리고 vscode를 이용해 원격 서버 접속 개발을 해봅니다.
1. Download
https://code.visualstudio.com/download
위 사이트에서 각자의 운영체제에 맞는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2. 실행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실행합니다.
'동의합니다'를 누르고 다음을 계속 클릭합니다. 다음을 누르다 보면 설치 경로 설정, 시작메뉴를 만들 것인지, 바탕화면에 바로가기를 만들 것인지 등의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설치가 간단하게 끝났습니다!
Remote server SSH
1. Extensions 설치
이제는 wsl를 이용한 접속 말고, vscode를 이용해서 개발을 해보기 위해 extension을 하나 설치합니다.
좌측 탭에서 extensions를 클릭하고, remote ssh를 검색해 설치해줍니다.
2. Remote-ssh 접속
상단에서 remote-ssh를 검색해줍니다. '> remote-ssh'라고 검색하여 나오는 Add New SSH Host... 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ssh 정보를 입력하라는 칸에서 다음처럼 우리가 평소에 접속할 때 쓰던 명령어를 똑같이 입력해줍니다.
ssh -i {keypair.pem} {ubuntu_id}@{remote_server ip_address}
ssh config 파일에 정보를 추가합니다. open config 버튼을 눌러보면 remote server의 정보가 기록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접속 후에 Open Folder를 선택하여 개발 directory까지 설정해주면 다음처럼 remote server의 파일이 vscode에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개발
vscode에서 대강 원하는 코드를 개발해봅니다.
그 이후 상단의 탭에 있는 터미널 메뉴를 이용해서 새 터미널을 열어줍니다.
터미널에다가 우리가 알고있는 기존 리눅스 커맨드를 이용해 컴파일 및 실행을 해봅니다.
끝!
'알고리즘 (Algorihtm) >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분 매칭 (Bipartite Matching) 알고리즘 (0) | 2024.01.14 |
---|---|
최소신장트리 (Minimum Spanning Tree) - 크루스칼 알고리즘 (1) | 2023.10.29 |
최소신장트리 (Minimum Spanning Tree) - 프림 알고리즘 (0) | 2023.10.29 |
스위핑 (Sweeping) (0) | 2021.07.20 |
세그먼트 트리 (Segment Tree) (0) | 2021.07.02 |